고양이가 잠깐씩 야옹대거나 고로롱 대거나 또는 아르릉 대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일이다. 하지만 고양이가 '소리를 지른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어 신경을 쓰게 만들기도 하는데 그런 행동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고 만일의 경우 병원에 가야만 하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물론 몇몇 고양이는 다른 고양이들에 비해 유난히 수다스러울 수도 있고 특별히 목소리 자체가 늘 소리 지르는 것처럼 우렁찬 경우도 있으므로 내 고양이가 말이 많고 소리를 지르는 느낌이 든다고 해서 모두 걱정할 일은 아니다. 하지만 아무리 봐도 내 고양이에게 이유가 있는 소리를 지르는 것 같을 때는?
1. 고양이가 식사 때 또는 화장실에서 소리를 지른다면?
만일 고양이가 식사 때 소리를 지르거나 불편한 느낌으로 운다면 구강이나 치과적 질환이 생겼을 수 있으며 화장실에서 소리를 지르는 경우라면 요로결석이나 감염 또는 변비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소화기 계통의 문제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런 문제가 며칠씩 지속 된다면 반드시 의사를 만나야만 한다
2. 나이 든 고양이가 밤중에 소리를 지를 때 - 치매일까?
나이가 많은 고양이가 밤에 소리를 지를 때는 확실히 하는 차원에서 일단 의사를 만나는 것이 좋지만 소리를 지르면 집사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오랜 시간 학습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것이 아니라면 만성적인 질병이 자리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고 나이가 들면서 정신이 흐려지고 감각기관의 기능도 약해지면서 자신의 상태에 스스로 놀라고 혼란과 불안을 느껴 소리를 지르게 되기도 하는데 이럴 때는 고양이가 시력이나 청력을 잃었거나 잃어가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급기야는 치매가 왔을 수도 있다 - 이럴 때는 고양이가 불안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만한 요소를 최대한 줄여주고 고양이의 안정 유지를 위해 끊임없는 배려와 주의를 기울여 주는 수 밖에 없다
3. 고양이는 발정이 왔을 때도 소리를 지른다 - 중성화를 하면 깨끗이 해결 된다
고양이들이 발정기에 소리를 지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로 자신은 이제 짝짓기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주변의 종료들에게 알리는 행동이다암고양이는 짝짓기 도중에도 소리를 지르는데 수고양이의 생식기에 바늘 같은 것이 돋아 있어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 일부 사람들이 중성화를 반대하며 '고양이도 성을 즐길 권리가 있다'고 하는데 천만의 말씀이다. 암컷이 숫컷을 유혹하는 듯 보이는 것은 대를 잇기 위한 본능적인 행동일 뿐 짝짓기 행위 자체를 즐기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4. 고양이는 놀라거나 화가 났거나 두려울 때도 소리를 지른다
만일 고양이의 일상적 행동이 변하지 않았고 근래에 스트레스를 받을 만한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갑작스런 공포, 분노 또는 통증 등의 가능성이 있다 - 고양이 주변에서 갑자기 무엇인가가 큰 소음을 내며 떨어졌을 경우에는 놀라움, 창 밖으로 영역을 침범한 다른 동물이 보일 때는 화가 나서 또는 외출을 위해 케이지 속에 갇혔을 때나 모종의 처치를 위해 집사 손에 붙잡혀 있을 때는 두려움에 끊임없이 소리를 지르며 울기도 한다. 또한 집사가 의식하지 못한 순간에 당한 부상으로 움직일 때 갑자기 느껴지는 통증 때문에 소리를 지르기도 하는데 만일 부상이 의심 되는 경우라면 지체없이 병원에 가야만 한다 - 고양이가 소리를 지르는 순간에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살피게 되면 원인 파악이 쉬워진다
5. 끊임 없이 소리를 지르는 고양이 - 지루함, 불안, 불만이 이유일 수 있다
이 외에 고양이가 끊임 없이 소리를 지른다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인데 만일 고양이가 지루함을 느끼거나 좌절감 또는 불안하거나 혼란을 느끼는 상황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새로 입양한 고양이가 계속해서 소리를 지른다면 변화에 적응하고 안정을 찾을 시간이 필요할 뿐이다. 그 동안 집사는 인내심과 침착함으로 고양이의 입장을 이해 해주는 수 밖에 없다. 만일 소리 지르는 고양이가 외동이라면 놀이감이나 놀이 상대가 부족해 외로움이나 지루함 때문이 아닌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라면 더 많은 시간을 내 놀아주고 혼자서도 놀 수 있는 장치를 더 마련해 주거나 더 나아가서는 둘째의 입양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다 - 사람도 사람과의 교류가 단절되면 정신적인 문제를 겪듯이 동물들도 마찬가지로 동족과의 교류를 필요로 한다.
ⓒ고양이와 비누바구니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