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고양이들이 참치캔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난다.
별나다고 욕을 먹을 일일지도 모르지만 아이들이 가다랑어를 지나치게 좋아하는 병 때문에 등푸른 생선의 섭취로 인해 파괴된다는 비타민B등 영양소의 손실을 방지할 방법은 없나 찾아본 적이 있었다. 그런 걸 안 주면 제일 좋겠지만 아이들이 이렇게나 목을 매고 좋아하는 걸, 저것들이 무슨 낙으로 사는데, 이런 생각 때문에 딱 끊지도 못했던 것도 사실.
가다랑어 (Skipjack Tuna / 가쓰오)
복부에는 녹청색 줄이 있고 몸길이는 평균 80cm, 무게는 2~10kg이다. 가쓰오부시의 원재료이기도 하며, 우리가 먹는 통조림참치의 대부분이 가다랑어로 만들어진다. 여름에는 가다랑어, 겨울에는 참다랑어란 말처럼 초여름부터 여름이 끝날 무렵까지 맛이 좋다. 붉은색이 전혀 없고 연한 담백색이어서 초밥이나 횟감용으로 거의 쓰이지 않는다.
<특정 브랜의 가다랑어 간식만 꺼내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지경이었다>
<다 먹고도 빈 손바닥을 핥아야 속이 시원하신 똥괭이님들>
고양이 참치 캔
대부분의 고양이들이 참치캔에 열광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참치가 고양이에게 독성이 있어서 자주 먹게 되면 참치 이 외의 다른 음식은 먹으려 하지 않아 장기적으로 봤을 때 이런 편식이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이며
참치가 나쁜 또 다른 중대한 이유는
참치에 들어있는 티아미나아제 - 티아민을 분해하는 효소-가 고양이 몸에 있는 비타민B1을 파괴해 털이 윤기를 잃고 피부에 비듬이 생기기 시작하다가 더 진행이 되면 운동장애가 오고 심한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는 등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된다. 체내에 저장 되거나 합성 되지 않는 수용성 비타민인 C, B, H(비오틴 - 비타민 B 복합체의 일종) 등은 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이 높은 등푸른 생선이나 기름에 잰 참치 등에 함유된 티아미나아제에 의해 모두 파괴되어 버리고 결핍증은 수 주 내로 그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티아미나아제를 많이 함유한 참치, 등푸른 생선 등을 먹일 때는 그 양이 지나치지 않도록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또한 물고기는 이미 오래 전부터 중금속 등 각종 물질에 오며되어 있어 자연, 환경 친화적인 식품으로 볼 수 없으므로 반려동물의 식단에서 완전히 제외 시키거나 제한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B가 많은 식품으로는 간, 살고기, 효모 등이 있다.
<어렸던 시절의 장면으로 요즘은 기분이 나쁘거나 밥맛이 없을 때 외에는 주지 않는다>
참치 대신 추천할 만한 고양이 간식
말린 또는 고품질의 단백질을 다량 함유한 건사료, 생고기 등이 고양이 치아 건강에 도움을 주며 영양가도 높다
결론
물론 약간의 불량간식도 가끔은 줄 수 있지만 건강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계속 주의를 기울이는 편이 좋다는 생각이 든다.
<사팔뜨기 만들어 가며 홀릭>
고양이의 비타민
사람과 고양이의 차이
고양이는 비타민 C를 간에서 생성하므로 음식을 통해 따로 섭취할 필요가 없다. 카로틴 - 프로비타민A - 는 사람의 경우 원료를 녹황색 채소를 통해 섭취하여 장점막에서 비타민 A로 전환시키지만 고양이는 채소가 아닌 동물성 식품으로 섭취해야 이 성분을 유효화 할 수 있다.
과하면 독이 된다 - 지용성 비타민
비타민은 신체의 기능에 무시할 수 없는 큰 역할을 담당하지만 그 양이 지나치면 역시 독이 된다. 특히 지용성비타민의 부족함이나 지나침은 신체에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어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주식캔은 대체로 일일 필요량을 적절히 배합해 판매하고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별도로 비타민을 보충해 줄 필요가 없다.
지용성 비타민군에 속하는 A, D, E 등은 피부, 눈 그리고 점막의 건강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지만 그 양이 지나칠 때 소변 등에 간단히 녹아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간과 신장 등에 저장 되므로 그에 따른 건강상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특히 소의 생간은 비타민 A 폭탄이므로 주의 해야한다. 반대로 고양이에게 비타민A가 부족하면 피부 이상, 불임, 시력 문제를 불러온다.
고양이 스스로 합성할 수 있는 비타민 D
건강한 뼈와 치아에 필수적인 물질이지만 결핍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고양이가 태양 빛을 받으며 스스로 합성 해내기 때문이다. 이 물질의 과잉은 신장과 혈관벽의 석회화로 이어질 수 있다.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은 간, 간유 그리고 생선 등이다.
비타민E
세포보호와 항산화 효과를 지닌 비타민E는 곡물과 견과류에는 풍부히 들어있지만 동물성 식품에는 그리 많지 않다. 고양이가 비타민E를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대부분의 육류, 달걀노른자 등이다.
ⓒ고양이와 비누바구니 All rights reserved.